베라체인(BERA) 코인 파헤치기!
🧸 커뮤니티에서 나온 곰이 왜 갑자기 레이어1이 됐을까?
처음에 이 프로젝트를 봤을 때 “이게 뭔데 이름이 곰이야?” 싶었는데요 ㅋㅋ 진짜 곰 모양 NFT로 시작한 게 맞더라구요. ‘Bong Bears’라는 밈 프로젝트에서 출발했는데, 지금은 무려 독자적인 L1 블록체인인 베라체인으로 성장했습니다. 그냥 웃고 넘길 수준이 아닌 진짜 기술력과 생태계를 갖춘 프로젝트라서 오늘은 이 코인을 아주 찐하게 분석해보겠슴다!
🚀 베라체인의 기술력: 그니까 PoL이 뭐냐면…
**Proof of Liquidity (PoL)**이라는 독특한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데요, 기존 PoS는 그냥 토큰 많이 들고 있으면 검증자가 되잖아요? 근데 PoL은 그걸 한 단계 더 나아가서 유동성을 제공하는 사람한테 보상을 줍니다. 이게 뭐가 좋냐면:
- 자본이 묶이지 않음 (기회비용 줄임!)
- 생태계에 실제로 유동성이 늘어남
- 검증자/유동성 공급자/프로토콜 간에 인센티브가 자동으로 정렬됨
게다가 이 PoL 위에 올려진 생태계는 아주 탄탄합니다. 자체 DEX인 BEX, 대출 프로토콜 BEND, 스테이블코인 HONEY, 거버넌스 토큰 BGT까지 3중 토큰 시스템으로 굴러가요. BGT는 양도 안 되고 (소울바운드임), 유동성 제공이나 생태계 참여로 획득할 수 있어요.
EVM 호환성도 있어서 MetaMask나 이더리움 기반 dApp들이 바로 호환되구요. 개발자한테는 코스모스 SDK로 모듈성도 제공해서 아주 유연하게 만들 수 있음다!

💸 토큰 이코노믹스
- 3중 토큰 구조:
- BERA: 가스비, 스테이킹
- HONEY: 스테이블코인
- BGT: 거버넌스 (양도 불가)
- 분배 구조:
- 투자자: 34.3%
- 생태계 및 R&D: 20%
- 초기 기여자: 16.8%
- 커뮤니티 이니셔티브: 13.1%
- 기타: 15.8%

출처-코인게코
💸 총공급량과 최초 발행일
총 발행량: 500,509,297 BERA
유통량 (2025년 4월 기준): 약 107,989,297 BERA
최초 발행일 :2025년 02월

출처-업비트
🧾 토큰 유통 일정 (2025~2028)
이 부분을 빠뜨리면 안 되겠죠? 실제 BERA 토큰이 어떻게 시장에 풀릴 예정인지 월 단위로 유통량 계획이 공개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요약입니다:
✅ 2025년
- 2월: 107,480,000 BERA
- 6월: 134,146,667 BERA
- 12월: 159,146,667 BERA
✅ 2026년
- 1월: 163,313,334 BERA
- 6월: 302,694,444 BERA
- 12월: 409,886,110 BERA
✅ 2027년
- 1월: 427,751,388 BERA
- 6월: 518,911,109 BERA
- 12월: 628,852,775 BERA
✅ 2028년 1월
- 최종 유통량: 647,176,386 BERA
이 유통량 계획표를 보면 점진적으로 공급이 늘어나지만, 급격한 물량 해제 구간은 피해서 설계한 느낌이에요. 이건 가격 방어에도 꽤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겠쥬~?

출처-CryptoRank
✅ 주요 투자자 정리 (VC)
베라체인은 2023~2024년 사이 강력한 투자 유치에 성공하면서, 글로벌 유수의 VC들로부터 총 약 1억 4,200만 달러 이상을 조달했습니다.
이들은 단순 재정 지원뿐 아니라, 생태계 파트너와의 연결 및 성장 기반을 제공하고 있어요 💰
🧠 Series A (2023.04.20)
- Polychain Capital (리드)
- Hack VC
- Shima Capital
- Robot Ventures
- Tribe Capital
- GoldenTree Asset Management
💡 Series B (2024.04.12)
- Framework Ventures (리드)
- Brevan Howard Digital (리드)
- Polychain Capital
- HashKey Capital
- Hack VC
- Tribe Capital
- Sandeep Nailwal (Polygon 공동창립자)
- Comma3 Ventures
- Samsung Next (삼성 벤처스) 등
총 모금액: 142M 달러 (약 1억 4,200만 USD) (원화로 약 2080억)
🤝 파트너십 및 협력 프로젝트 정리
Berachain은 단순한 L1 플랫폼이 아니라, 다양한 Web3 인프라와 DApp 생태계를 연결하고 있는 핵심 체인입니다.
2025년 기준 협력 중인 주요 파트너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인프라 및 프로토콜 연계
- LayerZero Labs: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제공
- Union Labs: IBC 자산 및 스테이킹 파생상품 유통 파트너
- Google Cloud: 노드 인프라 운영 클라우드 제공사
🎨 NFT 및 디앱
- Magic Eden: Berachain NFT 1차 상장 및 거래 지원
- Honey Chat: Berachain 기반 소셜 디앱
- Bong Bears: 초기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
🧱 DeFi 및 유동성 프로젝트
- Sky (구 MakerDAO): USDS 스테이블코인 통합
- BEX: Berachain 공식 DEX
- BEND: 대출 프로토콜
- Beraborrow: Liquity 모델 기반 대출 시스템
- Ooga Booga: 유동성 애그리게이터
💸 Boyco 프로그램 참여
Berachain 메인넷 전 총 30억 달러 이상 유치한 캠페인
주요 프로젝트:
- Infrared: BGT/BERA 리퀴드 스테이킹
- Dolomite: DEX 및 머니마켓
- Ethena, Origami, EtherFi 등 총 12개 이상 애플리케이션

출처-코인게코
📈 거래소 상장 현황
국내 거래소
- 업비트
- 빗썸
해외 거래소
- 바이낸스 (USDT, USDC, TRY)
- OKX
- Gate.io
- MEXC
- Bitunix 등
🔍베라체인 전망은 어떠냐면…
- 긍정적 요인:
- PoL이라는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이 DeFi 친화적임
- NFT/밈에서 출발했지만 탄탄한 생태계 확보
- 거래량/수수료 수익 증가세 🚀
- 주의할 점:
- 에어드롭 후 매도 압력으로 가격이 조정될 수 있음
- PoL 모델이 대중화되기 전까지는 신뢰 확보가 관건
하지만 현재 기준 수수료 수익 급증 + 유동성 안정성 + 파트너 확장이 지속되고 있어서, 장기적으로는 Web3 내에서 중견 L1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공식 링크
- 🌐 홈페이지
- 🐦 트위터(X)
- 💬 디스코드
- 📄 깃허브
- 📚 백서(Whitepaper)
글을 마치며…
곰이 이 정도일 줄은 몰랐습니다 ㅋㅋㅋ 그냥 귀여운 NFT인 줄 알았는데, 이젠 진짜 기술력까지 제대로 챙긴 블록체인 플랫폼이 되어 있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유동성 기반 보안이라는 발상이 참신했고, 3중 토큰 시스템이 잘만 굴러간다면 시장에서 아주 매력적인 포지션을 가질 수 있을 거 같아요. 다만 아직 초기 단계이니 만큼 에어드롭 이후 물량 조정 구간은 지켜봐야 할 것 같고요, 커뮤니티의 확장성과 개발자 친화성에 따라 길게 보면 재미있는 투자처가 될 수도 있겠죠!
🚨 투자 유의사항
해당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용입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진행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