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카네트워크(MOCA) 총정리!
토크노믹스부터 파트너십, VC, 2025년 전망까지 싹 정리했어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네온입니다!
오늘은 Mocaverse 생태계의 핵심, 바로 모카네트워크(Moca Network, MOCA) 코인에 대해 하나하나 파헤쳐 보려고 해요!
이 코인은 처음 들으면 ‘어..? 커피 브랜드야?’ 싶을 수도 있지만 ㅎㅎ
실제로는 웹3 생태계에서 디지털 신원 인증(Moca ID), 크로스체인 연결성(LayerZero v2), 그리고 다양한 GamFi·NFT·교육 콘텐츠를 통합하는 야심찬 프로젝트랍니다.
업비트, 바이낸스 등 주요 거래소에도 이미 상장되어 있는 이 코인이 과연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시죠💨
🔍 기술력과 목표
모카네트워크는 LayerZero v2 기반으로 여러 체인을 넘나드는 초강력 상호운용성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게다가 자체 개발한 모카 ID(Moca ID) 시스템은, NFT나 포인트, 보상 시스템까지 통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웹3 세계를 좀 더 실생활과 가까이 연결해주려는 성격이 강합니다.
🧩 핵심 기술들
- LayerZero v2: 크로스체인 연결, 낮은 수수료, 빠른 전송속도
- Moca ID: 탈중앙화된 DID(디지털 신원), 활동 기반 명성 포인트 시스템 운영
- AIR Kit: 기존 웹2 서비스와 웹3를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
🌎 목표
- 웹3 문화적 상호운용성 실현 (음악, 스포츠, 교육, 게임 등)
- 글로벌 유저 100만+ 유치
- TVL $200M, 디앱 100개 이상 생태계 구성
📊 토크노믹스

- 총 공급량: 8,888,888,888개
- 공개 판매량: 약 126.98M (1.43%)
- FDV: 약 $350M
- 주요 분배 구조:
- 네트워크 인센티브: 31.5%
- 생태계 & 트레저리: 20%
- 전략적 파트너: 13%
- 팀: 12%
- 기타: 23.5%
🔓 유통량 일정

출처-업비트
- 2025년 4월: 약 3.1B 개
- 2026년 4월: 약 6.5B 개
- 2027년 4월: 약 8.4B 개
2027년까지 대부분의 물량이 풀리게 되는 구조입니다! ⚠️
💸 주요 투자자 (VC) 및 유치 금액


출처-CryptoRank
- 총 유치 금액: 약 $66.89M(원화로 약 949억) 이상
- 투자사 명단:
- OKX Ventures
- HongShan (구 Sequoia China)
- CMCC Global
- Republic
- Kingsway Capital
- GameFi Ventures
- Liberty City Ventures
- Decima
- Foresight Ventures
- P2 Ventures
- Dapper Labs
- Block.one 등
믿음직한 VC들이 다수 포진해 있고, Animoca Brands가 모회사라는 점도 큰 강점이죠!
🤝 파트너십 코인 및 기업 목록
💠 코인 및 프로젝트 파트너
- The Open Network (TON): MOCA-TON 토큰 스왑, Telegram 게임 생태계 통합
- Pixels: MOCA 기반 NFT 보상 시스템 연동
- Coinlist: Moca ID와 AIR Kit로 런치패드 제공
- Magic Eden: NFT 런치패드 ‘Magic Moca’ 협업 중
🏢 웹2 기업 파트너
- SK Planet: OK캐쉬백·시럽 포인트를 $MOCA로 전환 가능한 구조
- MyAnimeList: 웹3 보상형 애니메이션 커뮤니티
- OneFootball: 팬 리워드 NFT + $MOCA 보상 시스템 구축
웹2와 웹3를 연결하는 협력이 많아서 실생활 유입 유저도 기대돼요!
⛓️ 장점과 단점
🌟 장점
- LayerZero v2 기반의 크로스체인 기술
- 실사용 가능한 모카 ID 시스템
- Animoca Brands 기반의 강력한 네트워크
- 실제 유저 기반 보유 (100,000+), NFT 커뮤니티 포함
- 웹2와의 연계로 시장 진입 장벽 낮춤 (SK Planet, MyAnimeList 등)
⚠️ 단점
- 생태계 규모가 아직 작음 (디앱 50개 미만, TVL $50M 미만)
- LayerZero 브릿지 보안 우려 존재
- 규제 리스크 (특히 Moca ID의 프라이버시 이슈)
- 투자 지분 락업 해제 시 매도 압력 가능
🔮 앞으로의 전망
2025년 기준으로 **모카네트워크(MOCA)**는 이제 막 메인넷을 출범시키고 본격적으로 웹3 생태계 확장에 들어간 초기 단계라고 볼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의 MOCA는 ‘성숙한 프로젝트’보다는 ‘성장형 코인’ 쪽에 가깝습니다.
그 말은 즉, 위험성도 있지만 동시에 잠재력도 엄청 크다! 라는 뜻이죠.
먼저 긍정적 시나리오부터 볼게요.
모카네트워크는 단순히 코인이나 블록체인 하나만 들고 나온 프로젝트가 아니에요.
Animoca Brands라는 거대한 모회사가 있고,
그 아래에 있는 다양한 포트폴리오(예: The Sandbox, Phantom Galaxies, Pixels, Arc8 등)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거든요.
GamFi, 교육, 스포츠, 팬덤, NFT 커머스까지 전부 다 커버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요.
그리고 이걸 실제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Moca ID 시스템, AIR Kit 솔루션, 그리고 LayerZero v2 기반의 크로스체인 기술까지 준비된 상태죠.
🚀 만약 이런 구조가 디앱 100개 이상, TVL $200M 이상,
사용자 50만 명 이상으로 확장된다면, MOCA는 정말 대형 코인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게 됩니다.
특히, SK플래닛(OK캐쉬백, 시럽), MyAnimeList, OneFootball 같은
‘실제 대중 플랫폼’과의 파트너십은 MOCA가 웹3 유저만 노리는 게 아니라 실생활 유저까지 끌어들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부분이에요.
이게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하면, 아마도 이더리움 L2보다 더 큰 시장을 형성할 수도 있어요.
📈 가격 면에서는 강세장 시 $1.5~2까지도 무리가 없다는 분석이 많고,2028~2030년을 바라보면 $4~6 이상도 충분히 가능할 수 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어요.
물론 이건 모든 디앱, 파트너십, 글로벌 확장이 제대로 돌아간다는 전제 하에서겠지만요!
그렇다고 마냥 장밋빛은 아니에요.
🧱 MOCA가 가진 가장 큰 리스크는 ‘아직은 초창기’라는 점이에요.
현재 기준 TVL은 $50M도 안되고, 디앱도 50개 미만이에요.
즉, 생태계가 완전히 성숙되기 전까지는 유동성도 낮고, 사용자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죠.
게다가 기술적으로 LayerZero 기반 브릿지는 과거 다른 프로젝트에서 보안 이슈가 있었던 만큼,
크로스체인 해킹 같은 사건이 터지면 치명적일 수 있어요.
그리고 모카 ID 같은 시스템은 개인정보와 관련된 민감한 영역이라
국가별 규제 이슈도 반드시 부딪치게 될 거고요.
또 하나, 상위 5개 지갑이 MOCA 공급량의 30% 이상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잠재적 매도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요.
락업 해제가 본격화되면 단기적인 덤핑도 우려해야 하고요.
📊 결론적으로, MOCA는 지금부터 진입해서 지켜볼만한 알트코인입니다.
이미 업비트, 바이낸스, 게이트, 쿠코인 등 글로벌 탑티어 거래소에 올라가 있고
파트너십도 꽤 튼튼하게 잡혀 있기 때문에,
시간을 들여 성장할 수 있는 여지를 가진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요.
강세장에서는 빠르게 $1 이상을 노려볼 수 있는 후보이고,
불장 후반기에 가장 눈에 띄는 “웹2 연계형 코인”이 될 수도 있어요.
다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유동성, 보안, 규제 관련 이슈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면서
분할 진입, 분할 익절 전략을 병행하는 게 안전하겠죠!
🏦 상장 거래소

출처-코인게코
✅ 국내 거래소
- 업비트 (KRW, BTC, USDT 마켓)
- 빗썸 (KRW)
🌐 해외 거래소
- 바이낸스
- 쿠코인 (KuCoin)
- 게이트(Gate.io)
- 바이빗(Bybit)
- Bitget
- DigiFinex
- BitMart
- Hotcoin 등 20개 이상
🔗 공식 채널
✍️ 글을 마치며…
모카네트워크는 단순한 ‘웹3 코인’이 아니에요.
실사용이 가능한 신원 시스템(Moca ID),
게임과 교육을 아우르는 콘텐츠 생태계,
그리고 LayerZero 기술까지…
정말 잘만 성장하면 Polygon과 같은 대형 코인의 초기 시절을 보는 느낌이 들 정도예요.
하지만 아직은 시작단계이기 때문에 성장을 지켜보며 소액 분할 매수 정도로 접근하는 게 좋아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웹2 기업들이 많이 얽힌 이 구조가 꽤 흥미롭게 봤습니다~
⚠️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정보 제공을 위한 블로그 포스팅입니다.
코인 투자는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