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코인(ANIME), 팬덤을 먹고 자라는 괴물 등장?
요즘 밈코인들 줄줄이 나오는데 말이죠,
그중에서도 “이건 좀 다르다!” 싶은 게 딱 하나 있었어요.
바로 애니메코인(ANIME). 이름부터 뭔가 아련하면서도 찐덕찐덕한 덕후력 폭발 느낌 ㅋㅋㅋ
근데 이게 그냥 밈코인이 아니라, **아즈키(Azuki)**랑도 얽히고,
**애니메이션 산업 전체를 블록체인 위에 올려보겠다!**는 그런 말도 안 되는 야망(?)을 가진 프로젝트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진짜 오덕 감성 충만한 이 코인을 한번 싹 정리해볼게요💥
🧪 애니메코인 기술력
- 이더리움 + 아비트럼 네트워크 사용 중:
일단 이더리움이 기반인데, 거래 빠르게 하려고 아비트럼(레이어2)을 깔았어요.
거래 수수료도 싸고, 속도도 빠름. 근데 끝이 아님. - 애니메체인(AnimeChain) 준비 중!
지금은 레이어2 기반인데, 자체 레이어3 블록체인까지 준비 중.
이걸 만들면 ANIME 코인이 가스 토큰으로 쓰이는 거죠.
블록체인에서 기름 역할 한다는 얘깁니다ㅋㅋ - NFT & 콘텐츠 통합
팬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나 애니 장면들을 NFT로 소유 가능하게 하고,
Anime.com에서는 애니 검색, 스트리밍, 블록체인 게임까지 가능하게 만들 계획. - DAO 거버넌스
운영 방향도 그냥 회사가 정하는 게 아니라, 토큰 가진 사람들이 투표로 정하는 구조!
🎯 코인 목표
- 전 세계 애니메이션 팬 10억 명을 겨냥한 디지털 경제 구축
- 창작자와 팬이 ‘함께 만드는 생태계’ → 소유권도 나눠갖고 수익도 나눔
- 풀스택 애니 생태계 만들기
👉 애니 기획 → 제작 → 배포 → 소비까지 한 플랫폼에서
👉 기존 스튜디오 중심 구조 타파! - 현실과 디지털이 연결된 새로운 ‘문화 공동체’ 만들기
👉 온오프라인 이벤트, 오프라인 공간도 만든다고… LA랑 일본부터 시작한대요
💰 토크노믹스

🐳 Azuki 커뮤니티 (37.5%)
Azuki 커뮤니티를 위한 물량으로, 애니메코인의 미래를 함께 만들 초기 서포터들을 위해 예약되었습니다.
완전 잠금 상태로 시작되며, 창구 기간 없이 점차 해제되고 커뮤니티 육성에 사용됩니다.
🌍 지역 사회 육성 (13%)
AnimeDAO를 통해 커뮤니티가 직접 관리하며, 유저 인센티브 및 커뮤니티 보상에 쓰입니다.
25%는 출시 직후 해제, 나머지 75%는 3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해제됩니다.
🌐 도메인 확장 (24.44%)
애니메코인 재단이 생태계 성장을 위해 보유한 물량으로, 도메인 프로젝트(.anime), 운영, 마케팅, 기업 제휴 등에 활용됩니다.
51.07%는 출시 직후, 이후 6개월 Cliff, 30개월 분할 해제 방식입니다.
🤝 파트너 커뮤니티 (2%)
Hyperliquid 커뮤니티, Arbitrum, Kaito yappers 등 협력 생태계 유저에게 할당된 물량입니다.
에어드랍 또는 커뮤니티 보상 등 생태계 확장을 위한 참여 유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팀 및 고문 (15.62%)
Azuki 팀 및 고문 등 초기 기여자에게 지급되는 물량입니다.
3년 락업 후, 1년간 분할 해제됩니다.
🏢 회사 (7.44%)
Azuki의 지속적인 기여와 파트너십 유지 목적의 기업 물량입니다.
3년 락업 후, 1년 분할 해제 방식입니다.
🧊 특징: 초기 유통 물량이 꽤 많은 편이에요. 가격 덤핑 가능성 주의⚠️
🔁 유통량

출처-업비트
2025년 4월 기준 약 5.6억 개 유통 중
→ 2026년 말까지 8.3억 개,
→ 2027년 말엔 약 9.8억 개 예상돼요
전체 발행량의 10%도 안 되는 수준이라 지금은 유통량이 생각보다 적어요!
🤝 파트너십 코인&기업 목록
- Azuki
- NFT 커뮤니티 파워 1티어
- 전체 공급량의 37.5%가 이들 몫
- 애니 IP, NFT 시리즈, 영상 제작까지 연계
- Arbitrum
- 애니메체인(AnimeChain) 기술 기반
- L3 블록체인 설계에 사용
- Dentsu
- 일본 대표 광고 미디어 그룹
- Azuki 애니 제작 참여 중, 감독 ‘타니구치 고로’까지 동원됨
- Aniplex USA
- Fate 시리즈 보유한 회사
- 애니메닷컴에서 해당 IP 스트리밍/판매 예정
- Hallway AI
- AI 기반 캐릭터 소통 도입
- D3 Global
- 웹3 도메인 (.anime) 운영 협업
- Hyperliquid, Kaito AI, Binance, OKX
- 에어드랍 파트너 및 런칭 지원 거래소
⚖️ 이 코인의 장점 & 단점
장점
- 애니메이션 팬덤 + 블록체인 = 엄청난 확장성
- NFT/게임/스트리밍 다 합친 복합 생태계 설계
- 아즈키, Dentsu, Aniplex 같은 쟁쟁한 파트너십
단점
- 가격 변동성 극심 (상장가 대비 90% 하락)
- 유통량 증가 속도 빠름 (덤핑 우려)
- 커뮤니티 유지가 성패를 좌우함
- 자체 블록체인(L3) 개발 성공 여부가 핵심
🔮 앞으로의 전망
애니메코인의 미래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서 ‘웹3 기반의 애니메이션 문화 플랫폼’으로 도약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커뮤니티 중심의 토큰 분배, 파트너십 네트워크, 기술적 인프라 구축 등에서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있어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기술적 진화 가능성
애니메체인(AnimeChain)은 Arbitrum Orbit 기반의 레이어3 블록체인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향후 이 체인을 통해 NFT 거래, 콘텐츠 스트리밍, 커뮤니티 거버넌스, 게임 내 경제 활동 등이 연결될 예정입니다. 이 생태계가 잘 구축되면 단순 코인이 아닌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허브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파트너사 및 생태계 확장력
Azuki, Arbitrum, Dentsu, AniplexUSA 등과의 파트너십은 단순 마케팅 수준이 아니라 IP 활용, 콘텐츠 제작, NFT 통합 등 실제 기능 구현과도 연계돼 있습니다. 특히 Azuki 커뮤니티에 전체 토큰의 37.5%가 배분된 만큼, 팬덤에 기반한 빠른 확산이 기대됩니다. - 애니메이션 산업의 구조적 성장
2030년까지 글로벌 애니메이션 산업은 약 6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NFT, 디지털 수집품, 콘텐츠 IP화와 같은 분야는 웹3와의 연결성이 매우 큽니다. 애니메코인은 이러한 변화에 가장 빠르게 올라탄 프로젝트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커뮤니티 기반 확장 전략
DAO를 중심으로 하는 커뮤니티 운영, 에어드랍, 캐릭터 상호작용을 통한 참여형 구조는 밈코인 특유의 바이럴 요소를 살리면서도 실질적인 유저 유입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강점입니다. AI 캐릭터, 인터랙티브 웹, 팬 활동 보상 시스템이 잘 정착된다면 팬덤 경제의 새로운 표준이 될 수도 있습니다. - 거래소 상장 확대 및 접근성 강화
2025년 현재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OKX, 게이트아이오 등 글로벌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이는 국내외 유저 접근성을 크게 높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업비트·빗썸 같은 한국 거래소 상장은 아시아권 유저의 대거 유입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 리스크 요인도 존재
다만, 가격이 0.186달러 → 0.02달러까지 급락했던 전례에서 알 수 있듯, 커뮤니티 이탈이나 기술 로드맵 지연, 규제 이슈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엔 다시 급격한 하락을 겪을 수 있습니다. 경쟁 프로젝트와의 차별화 포인트도 꾸준히 증명해 나가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 주요 상장 거래소

해외
- 바이낸스 (BNB/HODL 에어드랍)
- OKX (Jumpstart)
- 게이트(Gate.io)
- 쿠코인(KuCoin)
- 바이빗(Bybit)
- 엘뱅크(LBank)
- Bitunix, Ourbit 등도 있음
국내
- 업비트
- 빗썸
📡 공식 채널

애니메(ANIME) 코인 홈페이지
🧘 글을 마치며…
솔직히 말해서 처음 봤을 땐 ‘이거 그냥 밈코인 아니야?’ 싶었는데요,
이게 파면 팔수록… 되게 정교하게 설계된 팬덤 중심 웹3 프로젝트더라구요.
특히 아즈키랑 공식으로 묶인 순간부터 뭔가 NFT판 BTS 느낌까지 살짝 나기도 하고요 ㅎㅎ
다만… 시장이 받쳐주지 않으면 아무리 탄탄한 계획도 헛되다는 걸 우리가 너무 잘 알잖아요 ㅠㅠ
그래서 이 코인도 “초기 입장에서 조금씩 담고, 시장 반응 보며 진입” 이게 제일 좋아 보입니다!
⚠️ 투자 유의사항
해당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애니메코인(ANIME)은 변동성이 큰 가상자산으로 손실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반드시 스스로의 판단 하에 DYOR(Do Your Own Research) 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