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스트(BLAST)코인 전망,VC,락업,기술력 분석

블라스트(BLAST) 로고와 함께 "전망, VC, 기술력 분석"이라는 문구가 강조된 썸네일 이미지

🧨블라스트(BLAST)이 코인 뭐야?


게임-NFT까지 다 하는 코인

안녕하세요~ 코인판에서 생존 중인 네온입니다 🤗
요즘 ‘블라스트’라는 이름 자주 보셨죠? 갑자기 등장하더니 TVL 순위도 팍팍 오르고, 사람들 사이에서도 꽤 화제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L2 시장의 다크호스💥 블라스트(BLAST) 코인을 기술부터 VC 투자, 파트너사, 그리고 전망까지 싹~ 정리해보려구요. 저도 보면서 “어..? 이건 좀 신박한데?” 했던 부분이 있었어요ㅎㅎ 그럼 시작해볼게요!



⚙️ 블라스트 코인의 기술력

🔍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

  1. 옵티미스틱 롤업
    • 거래를 일단 ‘맞다~’고 가정하고 처리하는 기술이에요.
    • 이걸로 속도 빠르고, 수수료도 훨씬 저렴하게!
    • 이더리움 메인넷은 초당 15건 처리되는데, 블라스트는 수천 건 처리 가능함 ㅎㄷㄷ
  2. EVM 완벽 호환
    • 기존 이더리움에서 만든 앱(dApp), 스마트 계약 그대로 가져다 씀~
  3. 네이티브 수익률 시스템
    • 여기가 진짜 포인트임!!
    • 그냥 ETH 들고 있으면 연 3.4%, USDB는 5~8% 수익 자동 발생
    • 리베이싱 방식이라 스테이킹 안 해도 이자 주는 시스템 😎
  4. RWA(실물자산 통합)
    • 부동산, 채권 등 전통 자산까지 DeFi에 끌고 옴!
    • 요즘 이런 거 하는 코인 많지 않죠?

🎯 블라스트의 목표

  • 빠르고 싸게 거래 가능한 Layer2 최강 플랫폼
  • 디젠’이라 불리는 초기 투자자들 중심으로 커뮤니티 파워 극대화
  • DeFi + NFT + 게임 = 풀패키지 생태계 구축
  • 전통 금융이랑 블록체인 연결하기 (MakerDAO랑도 붙었음)
  • 개발자들이 잘 벌 수 있는 구조(가스 수수료 공유)

💰 토크노믹스

블라스트(BLAST) 코인의 토큰 분배 그래프 – 커뮤니티, 팀, 투자자, 재단, 기타 항목 포함

출처-CryptoRank

  • 총 공급량: 1,000억 개
  • 분배 구조:
    • 커뮤니티: 33%
    • 개발자(Core Contributors): 25.48%
    • 투자자: 16.52%
    • Blast Foundation: 8%
    • 기타: 17%

투자자 지분이 적당히 있어서 락업 해제 후 대량 덤핑 가능성은 비교적 낮아요. 물론 유통 속도 체크는 필수!


💹 유통량

BLAST 코인 월별 유통 계획 – 2024년부터 2027년까지 토큰 순차적 유통 스케줄

출처-업비트

2025년 4월 기준 약 277억 개
2027년 5월까지 857억 개까지 늘어날 계획이에요.

→ 매월 말마다 유통량이 점점 늘어나니, 언락 일정 주의! 😵


🧑‍💼 팀 정보

블라스트 창립자 Tieshun Roquerre(팩맨) 프로필 사진 및 역할 정보

출처-CryptoRank

  • 창립자: Tieshun (Pacman) Roquerre
  • Blur 마켓플레이스 공동 창립자이자 웹3 전문가!
  • 실무 감각, 제품 론칭 센스, 커뮤니티 빌딩 능력까지 다 있는 인물로 평가돼요.

🧠 주요 투자자 (VC)

블라스트 투자자 목록 및 총 $20M 투자 유치 내용, 런치풀 일정

출처-CryptoRank

2023년 11월 기준 총 $20M(원화로 약 284억) 이상 투자 유치

투자사 목록:

  • Paradigm
  • Standard Crypto
  • eGirl Capital
  • Santiago R. Santos
  • Andrew Kang
  • Hasu

→ 이름만 봐도 쟁쟁하죠…? VC들은 아무 프로젝트에 돈 안 꽂아요 😏


🤝 파트너십 맺은 코인 및 기업들

파트너사협업 내용
Wormhole블라스트-이더리움-솔라나 크로스체인 연결
MakerDAOUSDB 수익률 지원용 온체인 T-Bill 시스템 제공
Thruster Finance블라스트 기반 DEX + 거래 보상 시스템
Overnight.fi (USD+)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제공 (USDC 기반)
BlurNFT 마켓과 직접 연동 → 낮은 수수료로 NFT 거래 가능
BlastUP런치패드 플랫폼 운영
Coinbase상장 및 글로벌 유저 대상 홍보
Pacmoon(ARMY)커뮤니티 강화용 토큰 실험
Gangster Arena 2게임 기반 프로젝트, 블라스트 기반 게임
Fantasy TopNFT+게임+수익 보상 통합 프로젝트

💎 블라스트의 장점 & 단점

✅ 장점

  • 네이티브 수익률 제공 → 스테이킹 없이도 이자 OK
  • 빠른 속도 + 저렴한 수수료
  • 커뮤니티 힘 엄청남 (디젠들의 성지)
  • 개발자 친화 생태계 (가스 수수료 공유)
  • VC 지원 탄탄

❌ 단점

  • 초기엔 중앙화 논란 있었음 (멀티시그 관리)
  • 인센티브 남발로 가짜 활동 유도 논란
  • 경쟁 격화 (Arbitrum, Optimism, zkSync 등…)
  • 가격 변동 심함 (2024년 상장 후 90% 하락 경험 ㅠㅠ)

🔮 앞으로의 전망

블라스트 코인은 현재 이더리움 레이어2(L2) 생태계에서 꽤 강한 임팩트를 보여주고 있어요. 특히 **TVL(총 예치 자산)**이 2024년 6월 기준 16.5억 달러 돌파하면서, 롤업 계열 중에서 2위라는 기록을 세웠고요. 이게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실제 유동성과 사용자의 신뢰를 의미하는 거니까 꽤 중요한 지표거든요?

자, 그럼 2025년 이후 블라스트의 전망, 좀 길게 끌고 가보자구요~ 👀

1. 기술력 기반의 지속 성장 가능성

블라스트의 가장 큰 강점은 아무래도 **‘네이티브 수익률(Native Yield)’**입니다.
다른 L2들, 예를 들면 옵티미즘(Optimism), 아비트럼(Arbitrum) 같은 애들은 수익률이 **0%**잖아요? 근데 블라스트는 **ETH 연 3~4%, 스테이블코인(USDB) 연 5~8%**까지 수익을 제공하고 있어요.

이게 뭐가 좋냐면… 그냥 들고만 있어도 이자 받는 거라구요. 따 디파이 풀 들어가거나, 위험한 파밍 같은 거 안 해도 되니까, 초보자들한테도 부담이 덜하고, 동시에 보수적인 투자자들까지 끌어들일 수 있는 구조라는 거죠.

게다가 수익이 자동 리베이싱 방식으로 들어와서, 스테이킹도 필요 없고요. 이게 바로 “지갑에 두는 것만으로 돈이 늘어나는” 구조! 혁신적이긴 하쥬? 🙌

2. DeFi/NFT/Game까지 생태계 다각화

단순히 기술만 좋은 게 아니라, 생태계도 꽤 넓게 펼치고 있어요.

  • Thruster DEX와 연계해서 블라스트 기반 DEX 생태계 강화
  • Blur NFT 마켓플레이스와 연결되어 NFT 거래에 BLAST 사용
  • Pacmoon(ARMY), Fantasy Top, Gangster Arena 2 같은 블록체인 게임까지 진출 중

이런 프로젝트들이 모여서 사용자 체류 시간, 네트워크 사용량, 그리고 토큰 수요를 다 높여주게 됩니다.
즉, 생태계가 커질수록 자연스럽게 BLAST의 수요도 증가한다는 얘기지요.


3. 투자자와 파트너십: 빵빵한 백업

VC(벤처캐피털) 진짜 어마어마합니다.
Paradigm, Pantera Capital, Standard Crypto, Andrew Kang, Santiago R. Santos 등…
솔직히 이 정도면 웬만한 코인보다 뒷배는 단단하다고 봐야죠.

그리고 Wormhole, MakerDAO, Coinbase까지 파트너십 확장하면서, 단순히 ‘가즈아 코인’이 아니라, 인프라 코인으로 자리 잡는 중입니다.
이건 단기 펌핑용이 아니라 장기적 설계가 탄탄하다는 방증이에요.

4. 시세적으로는 어떻게 볼까?

2024년 6월 최고가 $0.0305에서 현재(2025년 4월 기준) 약 $0.0026까지 빠졌어요.
이게 -90% 이상 빠진 거라 사실 굉장히 ‘싼’ 구간이기도 합니다. 😥

만약 2025년 하반기에 BTC가 100K 넘는 상승장이 온다?
L2 관련 수요가 늘어나고, 특히 네이티브 수익률을 가진 블라스트에 자금이 몰릴 가능성 크죠.

📌 낙관적 시나리오: $0.01~$0.02
📌 보수적 시나리오: $0.005~$0.008
📌 기관 예측: Ambcrypto $0.014, CoinCodex $0.0112

한마디로, 지금 가격이 ‘바닥 근처’라고 볼 수 있고, 반등 여지는 충분하다는 말이에요.

5. 단점과 리스크도 분명 존재

🌪 가짜 트래픽 유도 논란: 인센티브 때문에 진짜 유저가 아닌 ‘농사꾼’들이 몰린다는 지적도 있고요.
💣 중앙화 이슈: 초기 멀티시그 운영 구조가 탈중앙화에 어긋난다는 얘기도 많았죠.
⚔️ 레이어2 경쟁 심화: 옵티미즘, 아비트럼, 라인아, ZKsync… 진짜 L2가 너무 많아요. 차별성 계속 유지 못 하면 묻힐 수도 있어요.

🧠 종합적으로 보면?

  • 기술적으로는 확실한 차별점이 있고,
  • 초기 TVL 성장도 좋았고,
  • 대형 VC가 든든하게 백업 중이며,
  • 사용처(DeFi, NFT, 게임)도 다변화되고 있고,
  • 아직 시가총액은 작고 가격도 바닥 수준이면…

👉 중장기적으로는 매력 있는 코인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당연히 리스크도 있고 변동성도 크기 때문에, 조급하게 몰빵하기보다는 나눠서 분할매수, 그리고 관련 뉴스/정책 체크하면서 천천히 대응하는 게 제일 좋아보여요.


📈 주요 상장 거래소

블라스트 코인 상장 거래소 현황 – 업비트, 바이비트, 게이트 등 글로벌 거래소 리스트

출처-코인게코

국내

  • 업비트
  • 빗썸

해외

  • Gate.io
  • Bybit
  • Huobi
  • Bitmart
  • XT.COM
  • GDAX
  • LBank
  • DigiFinex

📡 블라스트 공식 채널 모음


✍️ 글을 마치며…

요즘 레이어2 프로젝트 많지만
이렇게 ‘이자 생기는 레이어2’는 블라스트가 유일하죠 ㅋㅋ

디젠들에겐 신나는 놀이터,
개발자에겐 돈 버는 플랫폼,
일반 유저에겐 똑똑한 예치처!

물론 단점도 있지만,
기술력-비전-속도-수익률 다 갖춘 놈이라 앞으로 더 커질 여지는 충분하다고 느꼈슴미다.

저는 일단 관심코인으로 찜! 해두고 지켜보려구요 ㅎㅎ


🚨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투자 권유 아님미다!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큽니다. 꼭! 본인 판단하에 DYOR(직접 조사)하고 신중히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