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어제로(LayerZero) 전망,VC,락업일정,토큰이코노믹

파란 배경 위에 연결된 체인 이미지와 "블록체인의 연결고리, 레이어제로"라는 문구가 하얀 글씨로 쓰여 있음

🧠”이더리움 지갑에 있는 NFT, 솔라나로 옮기고 싶은데… 방법 없을까?”

“하나의 체인에서만 돌아가는 디앱, 너무 불편한 거 아니야?”

이런 생각 해보신 적 있다면…
ZRO, 레이어제로를 주목해야 해요!
요 코인은 블록체인 간 경계를 무너뜨리는 상호운용성 괴물이라구요! 🚀


🔧 레이어제로의 기술력

🧠 1. 초경량 노드 시스템 – ULN (Ultra Light Node)

기존 크로스체인 브릿지 방식은 전체 노드를 다 돌리거나, 중앙화된 중개체를 써야 했어요.
근데 레이어제로는?
딱 필요한 데이터만 최소한으로 처리하는 초경량 노드 구조로 해결합니다!

예시:
“이더리움에서 아비트럼으로 토큰 보내기”
기존엔 복잡한 브릿지 + 수수료 + 지연 시간 필수였지만,
레이어제로에선 딱 한 번 전송으로 끝!
오라클이 상태 감지 → 릴레이어가 다른 체인에 전달 → 수신!

📡 2. 오라클 + 릴레이어 구조

  • 오라클: 현재 체인의 상태를 감지해서 “A 체인에서 트랜잭션 발생했어요!” 하고 알려줌
  • 릴레이어: 그걸 받아서 B 체인에 전달해주는 택배기사 역할

보안성?
사용자가 직접 릴레이어를 설정할 수 있어요!
→ 이건 곧 탈중앙화 + 유연성 동시에 잡았단 뜻이죠.

🔗 3. OFT / ONFT 표준 도입

  • OFT (Omnichain Fungible Token)
  • ONFT (Omnichain Non-Fungible Token)

즉, 하나의 토큰 or NFT를 여러 체인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표준이에요!

이걸 채택한 대표적인 프로젝트가 바로
👉 Stargate ($STG), Pendle, Pepe, Ethena 등등!


🎯 프로젝트 목표: 체인 간 연결을 ‘당연하게’

레이어제로가 궁극적으로 꿈꾸는 건,
“모든 블록체인을 하나처럼 연결하는 것”

  • 체인 간 자산, 데이터 이동을 클릭 몇 번으로
  • 개발자는 체인 구분 없이 DApp 개발
  • 사용자는 여러 지갑 없이도 자연스럽게 사용 가능

한 마디로,
웹3의 연결 고속도로가 되겠다는 거죠! 🚦


👍 장점 vs 단점 👎

장점단점
✅ 수십억 달러 전송 실적 (검증됨)❌ 메시지 실패 시 디버깅이 어려움
✅ 사용자 지정 릴레이어 (탈중앙화 보장)❌ 거래 실패에 대한 UX 미흡 사례 있음
✅ 실제 상용화된 사례 다수❌ 메인넷 토큰(ZRO) 출시는 늦었음
✅ OFT/ONFT 지원으로 확장성↑❌ 보안 리스크는 여전히 모니터링 필요

📊 토큰 정보 한눈에 보기

🔸 총공급량: 10억 개
🔸현재공급량:111,152,854 ZRO (25년 4월 기준)

LayerZero 토크노믹스 다이어그램. 전체 공급량 10억 개이며, 커뮤니티 25%, 전략적 파트너 32.2%, 핵심 기여자 25.5%, 생태계 및 성장 9.5%, 기타 7.8%로 분배됨

출처-CryptoRank

🧮 토크노믹스 분배 구조

  • 커뮤니티 / 사용자 보상: 32%
  • 팀 / 고문: 25%
  • 투자자(시드+시리즈): 23%
  • 재단 운영 및 리서치: 10%
  • 생태계 파트너 및 개발자: 10%

레이어제로 토큰 유통량 일정표. 2024년부터 2027년까지 매월 말 기준 유통 수량 변화가 표 형식으로 정리되어 있음

출처-업비트

🔓 유통량 일정 요약 (ZRO)

  • 2025년 12월 말 기준: 약 4억 6,800만 개
  • 2026년 6월 말 기준: 약 6억 5,600만 개
  • 2027년 12월 말 기준: 최대 10억 개 전량 해제 예정

📈 유통량 그래프만 봐도 답 나오죠?
레이어제로는 2025년 중순까진 유통량 거의 제자리예요.
그러다 2025년 하반기부터 점진적으로 늘어남 👉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유통 풀림 시작된다고 보면 됩니당.

즉, 락업 물량 진짜 풀리는 시점은 2025년 중후반부터!
지금이 프리 단계냐? 락업 해제 언제 오냐? 이런 거 궁금하셨던 분들~
위 일정 참고하시면 흐름 딱 보이실 거예요ㅎㅎ

※ 락업 해제는 단계별로 2024~2027까지 분산됨


레이어제로(LayerZero) 주요 팀 구성원: CEO 브라이언 펠레그리노, CTO 라이언 자릭, 공동 창립자 케일럽 배니스터, 전략 고문 아리 리탄의 프로필 이미지

출처-CryptoRank

👤 팀 구성

  • Bryan Pellegrino: 공동창립자, CEO
  • Ryan Zarick: 공동창립자, CTO
  • Caleb Banister: 보안 아키텍처 담당
  • Howard Wu: 블록체인 R&D 디렉터

모두 블록체인 업계 경험자 or 엔지니어 출신으로 구성돼 있어 신뢰도 높음!


레이어제로(LayerZero)의 투자 유치 시리즈 A, Extended A, Seed 라운드 투자자 목록과 투자 금액 정보
레이어제로(LayerZero)의 프라이빗 라운드 및 시리즈 B 투자자 목록, 펀딩 금액 및 플랫폼 정보

출처-CryptoRank

💸 투자자 명단

  • a16z (앤드리슨 호로위츠)
  • Sequoia Capital
  • Multicoin Capital
  • Samsung Next
  • Coinbase Ventures
  • PayPal Ventures 등 다수

거의 VC 끝판왕들 다 들어가 있음 ㄷㄷ


🤝 협력 프로젝트 / 코인 목록 (2025년 기준)

  • Stargate ($STG)
  • Pendle ($PENDLE)
  • Trader Joe ($JOE)
  • Radiant Capital ($RDNT)
  • Ethena ($ENA), USDe
  • EtherFi ($weETH)
  • Pepe ($PEPE)
  • Kassandra, Mozaic, Magpie, Prisma, Portal, QiDao

Animoca Brands의 540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도 도입 예정!


상장된 거래소 현황

✅ 국내

  • 업비트
  • 빗썸

✅ 해외

  • 바이낸스(Binance)
  • OKX
  • 쿠코인(KuCoin)
  • 바이빗(Bybit)
  • 게이트(Gate.io)

🔗 공식 링크 모음


✍️ 글을 마치며…

이번 글 정리하면서 확실히 느꼈어요.
레이어제로는 그냥 기술력 좋은 프로젝트가 아니라,
블록체인 생태계 ‘연결’이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러 온 진짜 인프라에요.

ZRO 토큰이 이제 본격 등장하면서,
이 연결 고속도로를 타려는 프로젝트가 앞으로 더 많아질 것 같아요!
저는 레이어제로를 그냥 하나의 체인이 아니라, 연결 그 자체로 보고 있어요.
살짝 조용하지만, 실속 가득한 놈… 그런 느낌? ㅎㅎ


📌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레이어제로(LayerZero, ZRO)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정리한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작성된 글이 아닙니다!

암호화폐 투자는 높은 변동성과 리스크를 동반하므로,
최종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충분한 조사와 검토 후에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 무리한 투자, FOMO 매수는 항상 위험합니다.
DYOR(Do Your Own Research)! 스스로 조사하고 판단하는 습관 꼭 챙기세용!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