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넴(XEM)’코인의 모든 것!
넴(NEM) 코인… 한때 시장을 주름잡았던 전설 같은 이름이었죠?
진짜 한참 잘 나가던 시절엔 XEM이 무려 2달러도 넘었었구요 ㅠㅠ 그때 그 추억, 다들 있으시죠ㅎㅎ
그런데 말이죠… 요즘 다시 슬금슬금 올라오는 기운이 느껴져서, 네온이 다시 한 번 넴을 샅샅이 뜯어봤슴다~!
⚙️ 코인 기술력
넴은 Proof-of-Importance(POI)라는 독특한 합의 방식을 쓰는 블록체인이에요.
이게 뭐냐면… 단순히 코인을 많이 들고 있다고 보상 많이 주는 게 아니라,
얼마나 자주 거래하냐, 얼마나 네트워크에 참여하냐, 이런 활동성까지 반영해서 ‘중요도’를 점수로 계산해요.
예를 들어,
20,000 XEM을 들고 있으면 매일 10%씩 vesting 상태가 되는데,
약 7일 후엔 10,000 XEM이 vested 되어 하베스팅(채굴 비슷한 개념)을 할 수 있쥬.
그리고 모자이크(Mosaic)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건 말 그대로 나만의 코인을 만들 수 있는 도구예요.
이걸로 기업 로열티 포인트, 투표권, 디지털 증서까지 만들 수 있다니 꽤 실용적이쥬?
추가로 NEM은 Eigentrust++라는 신뢰도 시스템도 있어요.
악성 사용자나 사기꾼 같은 노드를 걸러내주는 시스템이라, 네트워크 안정성도 꽤 괜찮았답니다!
🎯 코인의 목표
넴의 모토는 New Economy Movement, 즉 ‘새로운 경제 운동’이에요.
블록체인을 그냥 코인 거래에만 쓰지 말고,
공공기록, 기업 계약, 디지털 자산 관리 등 실생활에 더 폭넓게 쓰이게 하자! 이게 본래 목표였슴다.
그래서 실제로 일본의 금융 기관, 정부 기관, 교육기관 등에서 이 NEM 기술을 활용한 사례가 많았구요.
Mijin이라는 이름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 솔루션도 제공했었죠!
📊 토크노믹스

항목 | 내용 |
---|---|
총 공급량 | 8,999,999,999 XEM |
유통량 | 전량 유통 (락업 없음) |
ICO | 2015년 5월 진행, 총 3.51억 개 판매 (100% 즉시 분배) |
Private Sale | 2014년 1월, $70,000 모금 (토큰당 $0.000011) |
초기 투자 수익률 | ROI 1566배 / 최고 ROI 190,170배 |
💸 유통량

출처-업비트
현재 기준으로 전체 공급량 89억 개 모두 유통 완료!
그래서 따로 락업되거나 새롭게 풀릴 물량 걱정은 없어요.
분배 구조는 아래처럼 구성돼 있어요:
- 이해관계자 커뮤니티: 71.1%
- 개발 배분: 15%
- 개발 준비금: 10%
- 출시 전 공개 경매: 3.9%
👉 사실상 대부분이 이미 시장에 돌아다니고 있다는 뜻입니다!
🏦 주요 투자자(VC)

💡 총 프라이빗 세일 투자 금액은 $70,000에 불과했어요.
ICO 당시에도 대규모 기관 투자는 없었고, 철저히 커뮤니티 기반으로 성장한 코인이었죠.
그래서 투자자로서 유명한 VC 리스트는 없지만,
대신 재단이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생태계를 키워왔어요!
🤝 파트너십 코인 목록 및 협력 방식
넴은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기업/프로젝트와 협력했으며, 최근에는 Symbol(XYM) 중심으로 재편됨
- Pundi X: 결제용 XPOS에 XEM 통합 (실생활 결제 적용)
- KardiaChain: DApp에 XEM 통합 (동남아 확장)
- Bidao: 스테이블코인 담보 자산으로 XEM 사용
- OATH Protocol: DApp 사용자 분쟁 해결
- Portal Network: 탈중앙화 도메인 서비스 개발
- Fireblocks: 기관 자산 커스터디
- Travala: 전 세계 호텔 예약 시 XEM 결제 가능!
- 우크라이나 선거위원회: 전자 투표 실험
- 말레이시아 교육부: 학위 인증서 발행
👉 요즘 코인치고 이렇게 현실 적용 사례 많은 프로젝트는 드물어요!
🌟 이 코인의 장점 & 단점
장점
- 에너지 효율 GOOD! 일반 PC로 하베스팅 가능
- 실생활 파트너십이 많음 (결제, 인증, 도메인 등)
- 일본, 말레이시아 등 정부 기관과 협력 사례 있음
- 네트워크 수명 오래됨 = 안정성 검증 완료
단점
- Symbol로의 전환으로 XEM 자체는 기술 발전 정체
- 과거 해킹 이미지 여전히 있음 (코인체크 사건)
- 시장 점유율 하락, 디앱 생태계 축소
- 글로벌 경쟁력 ↓ (솔라나, 이더리움에 밀림)
🔭 앞으로의 전망
넴(XEM)의 향후 전망을 이야기할 때는 과거의 화려한 이력과 지금의 현실적인 위치, 그리고 심볼(Symbol, XYM)과의 관계를 분리해서 봐야 해요.
이 코인은 과거에는 정말 ‘꿈’이 있었고, 실제로도 전 세계 다양한 기관, 기업들과 협력하면서 블록체인의 실생활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 모범 사례였거든요.
하지만… 그게 바로 넴의 강점이자 한계예요.
기술은 정말 좋았지만, 너무 빨리 등장해버린 거죠.
심볼(Symbol, XYM)이라는 후속 체인이 나오면서 기술적 주도권은 자연스럽게 그쪽으로 넘어갔고,
넴(XEM)은 사실상 기존 체인의 운영과 거래 수수료, 하베스팅 등 기본적인 기능만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그래서 새로운 기술 개발은 거의 없는 상태고, 투자자 입장에선 “도대체 이걸 왜 들고 있어야 하지?”라는 의문이 생기기 쉬운 상태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완전히 끝난 건 아니에요.
1️⃣ Symbol의 성공 여부가 곧 XEM의 부활 가능성을 결정한다고 보면 되거든요.
만약 심볼이 DeFi, NFT, 기업 솔루션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낸다면, 자연스럽게 XEM도 다시 관심을 받게 돼요.
거래소 유동성도 회복될 수 있고, 과거 넴 재단의 브랜드가 살아나면서 다시 주목받을 가능성도 생기는 거죠.
2️⃣ 특히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에서는 여전히 교육, 결제, 공공 행정 시스템에서 NEM 기술이 사용되고 있어요.
이 말은 즉슨, 완전히 버려진 프로젝트는 아니라는 거예요.
엔터프라이즈 영역에서의 채택이 유지되고 있는 만큼, 단기적인 상승 모멘텀도 노려볼 만하다는 거죠.
3️⃣ 가격 측면에서 보면, 현재 가격($0.015대)은 사실상 역사적 바닥권이라고 봐도 무방해요.
예전 고점인 $2.09에서 거의 99% 가까이 하락한 상태이기 때문에, 만약 알트코인 시즌이 오거나 비트코인 ETF 효과 등으로 시장 전반에 유동성이 유입될 경우,
‘묻혀 있던 코인’들이 한꺼번에 튀어오르는 그런 구간이 오면…
XEM도 잠깐의 펌핑 구간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분석도 있어요.
4️⃣ 무엇보다 중요한 건 심볼 로드맵의 실행력이에요.
2025년 안에 Symbol이 LayerZero와의 크로스체인 연동, DeFi 대출 프로토콜, NFT 마켓 플레이스 구축 등을 실현시킨다면,
NEM의 기술을 기억하는 커뮤니티들이 다시 결집하고, 그 여운이 XEM에도 도달할 수 있어요.
하지만 반대로…
❌ Symbol의 개발이 지지부진하거나,
❌ 경쟁자들(예: AAVE, Solana, Polkadot 등)에 비해 기술 진보가 뒤쳐질 경우,
XEM은 그냥 “옛날에 반짝했던 코인”으로 잊혀질 수 있어요.
즉, XEM은 **‘기술은 좋은데, 시대의 흐름에 맞게 진화하지 못한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고,
앞으로 살아남기 위해선 Symbol이 성공해서 끌고 가는 그림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종합하면!
- 단기: 심볼 이슈나 알트 반등장에서 펌핑 가능 (최대 $0.05 예상)
- 중기: Symbol의 시장 성과에 따라 $0.10~$0.15까지도 가능성 有
- 장기: 실사용 사례 확대 시 $0.30~$0.50도 가능하나, 이는 최소 3~5년 이상 장기 관점 필요
- 최악 시나리오: 시장 관심 완전히 소멸 → $0.01 이하 장기 박스권
💱 주요 상장 거래소

출처-코인게코
✅ 국내 거래소
- 업비트 (KRW 거래 지원)
- 빗썸 (KRW 거래 지원)
🌍 해외 거래소
- 바이낸스 (Binance)
- 게이트(Gate.io)
- 폴로니엑스 (Poloniex)
- 후오비 (Huobi)
- XT.COM, 비박스 등 다수
🔗 코인 공식 채널
✍️ 글을 마치며…
진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코인,
XEM은 “정말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이 계속 따라붙는 코인이죠.
지금 보면 누가 봐도 올드한 코인이지만,
그만큼 한 번은 대박을 냈던 경험이 있는 코인이라
마니아층도 여전히 존재하고요. 심볼의 행보에 따라 언제든 분위기 바뀔 수 있습니다!
다만, 솔직히 AAVE, SPACE ID 같은 신생 강자들하고는 격차가 크기 때문에
투자 시에는 꼭 “소액 분할 접근”을 추천드려요!
⚠️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정보 제공 목적의 콘텐츠입니다.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매우 큰 자산으로, 신중한 판단과 철저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항상 조심하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