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보스(CKB)
🙋 인사부터 살짝~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다시 조~금씩 관심 받고 있는 너보스 코인(CKB) 에 대해 파헤쳐보려고 해요. 이 코인은 진짜 기술력 하나는 탄탄한데… 아직은 그렇게 막 대세 느낌은 아니라서, 더 궁금한 분들 많으실 듯해서 정리해봤어요! 😉
🧠 너보스 기술력
너보스는 블록체인 중에서도 기술 욕심이 정말 많은 친구예요. 쉽게 말해서 이더리움보다 더 확장성 좋고, 비트코인만큼 보안 튼튼한 블록체인 만들겠다고 나선 건데요!
예를 들어서…
- Layer 1(CKB): 그냥 쉽게 생각하면 ‘기초 설계도’. 여기서는 보안이랑 탈중앙화에 집중했대요. 완전 비트코인처럼!
- Layer 2(Godwoken): 이건 고속도로 같은 거예요. 느려터진 블록체인 위에 빠르게 달릴 수 있게 해주는 확장 기술이라고 보면 됩니당.
- RISC-V 가상머신: 기존 가상머신보다 더 효율적으로 스마트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인데… 음 그냥 ‘스마트컨트랙트용 똑똑한 두뇌’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아요!
- State Rent 모델: 이건 진짜 독특한데, 블록체인 저장소를 ‘임대’ 개념으로 접근해요. 땅값 내듯이 데이터 저장도 돈 내야 하는 구조죠 ㅎㅎ
🎯 너보스의 목표
너보스의 가장 큰 목표는 확장성, 보안, 상호운용성을 모두 해결한 ‘완성형 블록체인 플랫폼’이에요.
- **비트코인 생태계와의 연결(BTCKB)**을 통해 DeFi도 가능하게 만들고,
- 다양한 체인과 연동해서 모든 코인이 호환되는 그런 꿈의 플랫폼을 만들고 싶어해요!
💰 토크노믹스

- 총 발행량: 약 489억 개
- 현재 유통량: 약 463억 개 (2025년 4월 기준)
- 시장가치: 약 2.4억 달러
- 토큰 분배 구조는 아래와 같아요👇
- Token Sale: 34%
- Ecosystem: 18.5%
- Team: 15%
- Burn: 25%
- 기타: 7.5%
🔁 유통량

출처-업비트
너보스의 유통량은 매달 조금씩 증가하고 있어요.
2025년 말 기준으로는 약 486억 개 정도까지 유통될 예정이고요.
🧑💻 팀 정보

출처-CryptoRank
- Terry Tai – CEO
- Kevin Wang, Daniel Lv – 공동 창업자
- Alan Szepieniec – 암호학자 (Advisor)
이 분들 중엔 이더리움 초기 기여자도 있고, 블록체인 업계에서 꽤 유명한 분들도 많아서 기술력 신뢰도는 높은 편이에요!
🧳 주요 투자자(VC) & 유치금액

출처-CryptoRank
- Polychain Capital, DragonFly Capital, 세콰이아 차이나 등 글로벌 대형 투자사들이 있어요!
- 2018~2019년에 걸쳐 총 약 9,780만 달러 이상 투자 유치를 했다고 합니다!
🤝 파트너십 맺은 코인 및 기업
🧩 진짜 많아요… 대표적인 것만 쭉 써볼게요!
- 카르다노(ADA): 크로스체인 DEX 연동 (YokaiSwap)
- 카바(KAVA): 크로스체인 자산 활용
- 셀러 네트워크(Celer): 브릿지 기술로 연결
- 밴드 프로토콜(Band): 오라클 데이터 연동
- 레저(Ledger): 하드웨어 지갑 지원
- BSN(중국 국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협력 플랫폼
- 체인링크(Chainlink): 외부 데이터 연결 (오라클)
이 외에도 후오비, 파스텔, 세이프팔, Komodo 등등…
진짜 생태계 연결 욕심 장난 아니더라구요 ㅎㅎ
🔍 장점 & 단점
✅ 장점
- 기술적 독창성 (RISC-V, State Rent 등)
- 비트코인과의 연계 전략 (BTCKB)
- 다양한 크로스체인 파트너십
- 장기적인 유통 계획 투명하게 공개
❌ 단점
- 아직까지 대중적인 디앱 부족
- 생태계 채택률 낮음
- 마케팅, 커뮤니티 활동 부족
- 중국 프로젝트라는 리스크
🔮 앞으로의 전망
너보스는 단순히 ‘Layer 1 블록체인’ 하나 더 생겼다~ 하는 프로젝트가 아니고, 기존 블록체인 구조의 한계를 기술로 정면돌파하려는 프로젝트에 가까워요. 특히 “모든 체인이 연결되고, 확장도 잘되고, 보안도 철저한”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그 집념… 이건 진짜 박수쳐줄 만합니다👏
🌐 1. 확장성과 보안의 균형: 이론에서 실전으로
기존 블록체인은 딱 2가지 문제에서 갈려요:
- 비트코인: 보안은 철저하지만, 트랜잭션 속도 느림, 기능 제한
-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트는 가능하지만, 수수료 비싸고 확장성 부족
그 사이 어딘가에 딱 절묘하게 균형 맞춘 놈이 없었죠. 근데 너보스는 이걸 **이중 계층 구조(L1+L2)**로 풀려고 했어요. 특히 L1(CKB)은 상태 저장 & 보안에 집중, L2(Godwoken)는 확장성 담당.
그리고 이제 진짜 중요한 게 나옵니다…
🚀 2. 2024년 Fiber Network 메인넷 = 실전 돌입
이제는 말만 하는 게 아니라 고속 라이트닝 네트워크인 Fiber Network의 메인넷을 2024년 11월 출시 예정!
이건 뭐냐면요? 비트코인도 못 해결한 속도와 비용 문제를, 멀티홉 라우팅 + 라이트닝 방식으로 해결하려는 거예요.
이게 성공하면?
👉 “너보스 위에서 움직이는 비트코인 기반 DeFi 생태계” 라는 말도 더 이상 이상한 상상이 아니게 됩니다.
⚡ 3. CKB-VM & RISC-V 기반의 확장성
이건 개발자들이 특히 좋아할 포인트인데, 너보스는 이더리움의 EVM이 아니라 자체 개발한 CKB-VM을 사용하고, 이게 RISC-V라는 CPU 설계 언어 기반이에요.
그게 뭐냐면…
📌 쉽게 말하면 “내가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는 나만의 CPU와 가상환경”을 만든 거예요.
기존 스마트컨트랙트보다 더 정밀하고, 다양한 암호학 알고리즘도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심지어 하드포크 없이도 시스템 확장이 가능합니다.
이게 진짜 말이 안 되는 장점이에요…
🔗 4. 상호운용성 & 크로스체인 주도권
- Force Bridge로 이더리움, 비트코인, 카르다노 등과 연결
- Band Protocol, Chainlink 등과 연결로 DeFi 신뢰도도 확보
- BTCKB 이니셔티브로 비트코인 생태계와도 진짜 연계 가능성 확보
이 정도면 그냥 멀티체인 블록체인이라기보단, 아예 **”블록체인들 사이에서 중앙 허브가 되려는 프로젝트”**라고 봐야 할 정도예요.
🧩 5. 도전 과제 & 변수
물론, 전망이 낙관적이기만 한 건 아니죠. 아직까지는:
- 실제 디앱 생태계가 활성화되지 않았고,
- Fiber Network의 메인넷 성과도 검증된 건 아님
- 비트코인 기반 DeFi 수요가 아직은 미지수
이런 점에서 ‘잠재력’은 높은데 ‘현재 시장 반응’은 아직 뜨뜻미지근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 말은 곧, **”이게 터지면 진짜 큰일 날 프로젝트”**라는 뜻이기도 해요 😎
✨ 전망 요약
너보스는 Layer 1 + Layer 2 구조를 완성도 있게 설계했을 뿐만 아니라, Fiber Network와 BTCKB로 비트코인 확장 생태계의 핵심을 노리고 있어요. 여기에 CKB-VM의 유연성, 상호운용성 기술은 아직까지도 많은 프로젝트들이 따라오지 못하고 있는 수준입니다.
단기적으론 시장 상황에 따라 $0.005 언저리에서 움직일 수 있지만, Fiber Network 메인넷 출시 이후 실사용 사례가 터지면, 장기적으로 $0.1~$1 수준까지도 노려볼 수 있는 포텐셜은 분명 존재한다고 봅니다~ ㅎㅎ
🌏 주요 상장 거래소

출처-코인게코
- 국내: 업비트,빗썸
- 해외: 바이낸스, 후오비, 게이트아이오, MEXC, BTCC 등
🔗 공식 사이트 및 채널
✍ 글을 마치며…
개인적으로 너보스는 진짜 기술덕후가 만든 코인 같아요. 마케팅보다는 코드로 말하는 느낌…? ㅎㅎ
그래서 아직은 조용하지만, 진짜 Layer 2가 제대로 작동하고 비트코인 연결만 잘되면 큰 그림 그릴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하지만 아직은 실사용 사례나 대중성 면에서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는 소액 분산투자 or 장기적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
⚠️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닙니다.
코인은 고위험 투자 상품으로,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 전 반드시 스스로 리서치(Do Your Own Research)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