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드박스(SAND)
메타버스의 미래?
안녕하세요~ 오늘은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프로젝트 중에서도 핫했던! 그리고 여전히 성장 가능성 있는 샌드박스(SAND) 코인 이야기를 가져와봤어용 ㅎㅎ
한때는 꿈의 메타버스라 불렸던 샌드박스, 과연 지금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하나하나 뜯어보면서 같이 알아보자구요! 🏄♂️
코인 기술력
샌드박스는 이더리움 기반으로 처음 만들어진 가상세계 플랫폼인데, 2022년부터는 폴리곤(Polygon) 네트워크랑도 연결됐어용~
간단히 말하면, 원래 이더리움은 느리고 수수료도 비쌌거든요? 근데 폴리곤으로 넘어가면서 수수료는 팍! 줄고 거래 속도는 슝슝 빨라졌어요. 💨
특징은 3가지!
- 복스에딧(VoxEdit) : 레고처럼 내 맘대로 3D 캐릭터나 아이템 만들기 🧱
- 마켓플레이스 : 만든 아이템을 SAND 토큰으로 사고팔기 💰
- 게임메이커(Game Maker) : 코딩 몰라도 쉽게 게임 만들기 🎮
즉! 개발자가 아니어도 누구나 메타버스 세상에서 부자될(?)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이런 철학을 가진 프로젝트였심다 😎
코인 목표
샌드박스의 궁극적인 꿈은 단순한 게임 플랫폼이 아니라
“탈중앙화된 창작자 중심 메타버스 경제” 를 만드는 거였어요.
- 게이머가 돈 벌고
- 크리에이터가 자기 콘텐츠 팔고
- 토지(LAND) 가진 사람은 임대나 개발로 수익도 내고
이런 완전한 순환경제를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그리고 2025년 하반기에 코스닥 상장(IPO) 까지 계획하고 있어서… 현실 세계와 메타버스를 넘나드는 진짜 기업이 되려고 준비 중이래용 🏢
토크노믹스 (Tokenomics)

- 총 발행량: 30억 SAND
- 현재 유통량: 약 24.45억 SAND
- 시장가치(Market Cap): 약 7억 5천만 달러
- 토큰 배분:
- 회사 보유 25.824%
- 팀 19%
- 시드 투자자 17.18%
- 바이낸스 런치패드 12%
- 기타 26%
초기 투자자들의 물량이 꽤 많은 편이긴 한데, 2025년부터는 유통이 거의 다 끝나기 때문에 추가 매도 압력은 점점 줄어드는 구조더라구요 🤔
유통량

출처-업비트
2025년 1월 기준으로 거의 29억개가 풀렸고,
그 이후로는 락업 물량이 따로 없어요.
즉, “더 풀릴 물량 걱정은 안 해도 된다!”는 점이 현재 샌드박스 코인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
팀 정보

출처-CryptoRank
샌드박스의 핵심 멤버들~!
- Arthur Madrid: CEO, 공동 창립자
- Sebastien Borget: COO, 공동 창립자
- Marcelo Santurio: CFO (돈 관리 담당)
- Lucas Shrewsbury: CTO (기술 총책임자)
- Simon Berger-Perrin: CPO (제품 관리 총괄)
- Fabien Kerbouci: CISO (보안 총책임자)
초기부터 메타버스 분야에 엄청 열정적인 사람들이라
“그냥 돈 벌려고 한 프로젝트”는 아닌 것 같았어요 진짜루!
주요 투자자(VC) 및 유치 금액


출처-CryptoRank
샌드박스는 투자 받는 것도 장난 아니었어요 😳
- SoftBank (비전펀드2) 주도, $93M 유치
- Animoca Brands, SamsungNext, LG Technology Ventures 등등
- 그리고 2024년에는 추가로 $20M 투자도 받음!
밸류에이션이 10억 달러 넘는 “유니콘” 반열에도 올라있습니다 🦄
파트너십 코인 목록
협력도 빵빵함;;
- 폴리곤(Polygon) : 탄소배출 99% 절감, 친환경 메타버스 구현
- 바이낸스(BNB) : LAND 판매 및 토큰 거래 지원
- 레이어제로(LayerZero) : SAND 다중체인 브릿징 (BSC, Base 등)
- 엔진(ENJ) : NFT 기술 협력 (ERC-1155 표준 개발)
기술 통합부터 마켓 확대까지 폭넓게 움직이고 있어서
“단순한 이더리움 기반 코인”으로 끝나지 않을 준비를 다 해놨더라구요 👀
장점 & 단점
장점
- 초보자도 쉽게 게임/자산 제작 가능
- 강력한 파트너십 & 대형 투자자 지원
- 탄탄한 유저 생태계와 브랜드 콜라보 (아디다스, 스머프 등)
- 폴리곤 전환으로 친환경 운영 + 저가 수수료
단점
- 메타버스 시장 성장 둔화 가능성
- 거버넌스(의사결정) 권한 집중 우려
- 메타마스크 등 초보자 장벽 여전히 존재
- 디센트럴랜드, 엑시인피니티 등 경쟁 심화
앞으로의 전망
샌드박스는 확실히 블록체인 메타버스 1세대 중 하나라구 할 수 있어요.
초창기에는 “단순한 게임 플랫폼” 느낌이 강했는데, 이제는 “부동산 + 창작 경제 + 브랜드 경험”까지 확장된 상태거든요.
특히 2025년 이후에는,
- 폴리곤 기반 완전 이주
- 모바일 앱 출시 예정
- 브루스리, 스머프, 구찌, 소니 등 추가 협업
- K컬쳐 (한국 콘텐츠) 적극 공략
이런 요소들이 맞물리면서 “메타버스 대중화 시대”가 진짜 오면,
샌드박스는 그 중심에서 이름값을 날릴 수 있어 보였어요.
다만 현실적인 변수(예: 금리, 암호화폐 규제, 메타버스 수요 감소)는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무조건 장밋빛 미래만은 아니라는 거…! 꼭 기억해두자구요 😶🌫️
주요 상장 거래소

출처-코인게코
- 국내 : 업비트,빗썸
- 해외 : 바이낸스(Binance), 게이트아이오(Gate.io), 오케이엑스(OKX), 폴로닉스(Poloniex) 등등
유동성도 매우 좋아서 언제든 사고팔 수 있는 코인입니다 💸
코인 공식 사이트 링크
글을 마치며…
샌드박스 코인은 “메타버스”라는 거대한 꿈을 향해 꾸준히 나아가고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기술력, 파트너십, 투자자 면에서는 이미 상위권인데, 결국 중요한 건 “진짜로 사람들이 메타버스를 찾을까?” 하는 점이겠죠?
그냥 꿈이 아니라 현실이 될 수 있을지… 앞으로 진짜 기대해보려구요 ㅎㅎ 🫶
투자 유의사항
📢 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 책임입니다.
항상 DYOR(자체 조사) 하시고, 무리한 투자는 삼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