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이(SUI) 코인 전망,VC,기술력 분석!

수이(SUI) 코인의 로고와 함께 "수이(SUI) 코인 전망, VC, 기술력 분석!"이라는 문구가 중앙 정렬로 배치된 파란색 배경의 썸네일 이미지

💧수이(SUI) 코인 뭐길래 다들 난리야?

음… 사실 처음 수이(SUI) 이름 들었을 땐 “이거 또 새로운 레이어1인가?” 싶었는데요,
깊게 파고들어보니… 이건 그냥 ‘솔라나+앱토스+기술력 한 스푼’ 섞은 하이브리드 괴물 느낌이더라구요ㅎㅎ

오늘은 이 수이 코인을 제가 아주 그냥 낱낱이 파.해.쳐. 드려볼게요💪


⚙ 수이의 기술력, 어디까지 가봤니?

가장 먼저 눈에 띈 건 이겁니다:
“초당 29만 건의 거래 처리 속도”

와… 이 정도면 거의 카드사급인데요😮
그게 가능한 이유는 바로 👉 병렬 트랜잭션 처리 구조 덕분이에요.
일반 블록체인이 순차적으로 거래를 처리하는 반면,
수이는 동시에 여러 거래를 ‘병렬로’ 처리하니까 느려터진 블록체인의 한계를 돌파한 거죠.

또 하나, Move 언어 사용!
원래 리브라(메타)의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언어인데,
이걸 바탕으로 더 보안성 높고 효율 좋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만들 수 있어요.

쉽게 말하면,

“안전하면서도 빠른 고속도로” 위에
“해킹 걱정 없는 자동차량”이 달리는 느낌이랄까요?ㅎㅎ


🎯 프로젝트 목표는?

수이는 단순히 빠른 블록체인이 아니라,
**‘웹3 앱 생태계의 허브’**가 되겠다는 포부가 있어요.

DeFi, NFT, 게임, 소셜파이까지
전부 통합할 수 있는 올인원 환경을 구축 중입니다.

📍특히 게임 & 소셜 분야에서 눈에 띄는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ONE 챔피언십 모바일 게임” 같은 대형 프로젝트도 수이 위에서 돌아가고 있다구요👀


💸 토큰이코노믹스 (Tokenomics)

수이(SUI) 코인의 토큰 이코노믹스 다이어그램. 총 공급량 100억 개 기준, 52.17%는 2030년 이후 할당, 커뮤니티 리저브 10.6%, 스테이킹 보조금 9.5%, 시리즈 A 투자자 7.1%, 기타 20.5%로 구성됨.

출처-CryptoRank

  • 총 공급량: 100억 SUI
  • 초기 유통량: 약 5.28억 SUI
  • 퍼블릭 세일 비중: 5.95%
  • 배분 구조:
    • 🚀 52.17% – 2030년 이후 할당
    • 🧑‍🤝‍🧑 10.6% – 커뮤니티 리저브
    • 🧪 7.1% – 시리즈 A 투자자
    • 🎯 9.4% – 스테이킹 보상
    • 🌐 기타 – 20.5%

👉 즉, 지금 시장에 풀린 양보다 훨씬 많은 토큰이 2030년 이후까지 잠재적으로 시장에 등장할 수 있다는 뜻!


🧾 유통 일정 (2025~2026)

수이(SUI) 코인의 월말 기준 유통량 증가 계획표. 2023년 6월 약 5.8억 개에서 시작하여, 2025년 5월 말 기준 약 33.3억 개, 2026년 5월 말에는 약 40억 개에 도달하는 것으로 계획됨.

출처-업비트

🗓️ 2025.5월 말 기준: 33.3억 개 유통
🗓️ 2025.12월 말: 37.3억 개
🗓️ 2026.5월 말: 40억 개 돌파

→ 이 말은 곧…
매달 약 1~1.5억 개씩 시장에 풀린다는 얘기죠!
하반기로 갈수록 매도 압력이 커질 수도 있다는 거, 꼭 체크해야 해요⚠️


🧠 팀 구성 (공동 창업자 올스타!)

수이 프로젝트의 공동 창립자 및 핵심 팀 멤버 이미지. Evan Cheng(CEO), Sam Blackshear(CTO), Adeniyi Abiodun(CPO), George Danezis(Chief Scientist), Kostas Kryptos(Chief Cryptographer)로 구성되어 있음.

출처-CryptoRank

이름역할특이사항
Evan ChengCEO전 메타 Novi, 애플 LLVM 리더
Sam BlackshearCTOMove 언어 개발자
Adeniyi AbiodunCPO메타 출신, Diem(리브라) 리드
George DanezisChief Scientist블록체인 보안 전문가
Kostas KryptosChief Cryptographer암호학 천재… 이름부터 크립토🤓

팀이 전부 리브라 출신 + 메타 출신이라 기술력은 이미 증명된 셈이에요.


💼 주요 투자자(VC)

수이(SUI)의 바이낸스 런치풀 및 Bybit, KuCoin Spotlight에서 진행된 IEO 정보. 런치풀은 0.4% 할당량으로 무료 제공되었으며, IEO 가격은 $0.03~$0.10, 최대 ROI는 178.18배에 달함.
2023년 4월 OKX Jumpstart, KuCoin, Bitforex 등에서 진행된 SUI 코인 IEO 정보. 가격은 $0.03 또는 $0.10으로 설정되었고, 최대 수익률은 178.18배까지 기록. 총 모금액은 플랫폼별로 수십만에서 수천만 달러 규모.
SUI 프로젝트의 시리즈 A(2021년)와 시리즈 B(2022년) 투자 내역. a16z, FTX Ventures, Coinbase Ventures, SamsungNext 등 글로벌 벤처캐피털이 참여했으며, 총 3억 3600만 달러 이상 모금함.

출처-CryptoRank

  • a16z (안드리센 호로위츠)
  • FTX Ventures
  • Coinbase Ventures
  • Jump Crypto
  • SamsungNext, Circle, Lightspeed

👉 총 모금 금액 약 3억 3천만 달러(원화로 약 4700억) 이상!
“실력 + 자본 + 네트워크” 삼박자 갖췄어요👏


🤝 파트너십

  •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 & 디앱 개발 서포트
  • 구글 클라우드: ZettaBlock과 함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
  • 프랭클린 템플턴: DeFi 프로토콜 DeepBook 공동 개발
  • 원 챔피언십 + 애니모카: 게임 ‘ONE Fight Arena’ 개발
  • 바빌론 랩스: BTC 유동성(LBTC) → 수이로 가져옴
  • 롬바드 프로토콜: BTC 기반 자산 DeFi 연동
  • NHN: 한국 시장 기반 게임 & 소셜Fi 개발
  • MemeFi: 텔레그램 기반 P2E 게임 협력
  • OtterSec, Zellic: 보안 감사 및 생태계 안정화
  • USDC, SuiNS, Cetus, IKA 등: 유동성 공급 및 크로스체인 연계

✨ 단순 콜라보가 아니라, 기술적 통합형 파트너십이 많은 게 특징이에요.


⛳ 장점 요약

  • ✔ 초당 29만건 병렬 처리 기술
  • ✔ Move 언어 기반 보안성 우수
  • ✔ 글로벌 기업과 강력한 파트너십
  • ✔ DeFi+게임+소셜 모두 아우르는 생태계
  • ✔ 규제 친화적 분위기 (홍콩 등)

⚠ 단점 및 리스크

  • ❗ 유통량 증가 → 덤핑 우려
  • ❗ 경쟁 치열 (솔라나, 앱토스, 세이 등)
  • ❗ 디앱 수 & 사용자 수 아직 부족
  • ❗ 글로벌 규제 불확실성 (특히 미국)
  • ❗ 기술 신뢰성 확보까지 시간 필요

🔮 수이 전망은?

수이는 현재 비이더리움 계열 레이어1 중에서 가장 강력한 후보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어요.
사실 이더리움이 여전히 강자긴 하지만, 가스비, 속도, 확장성 측면에서 한계가 명확하거든요.
여기서 수이가 강하게 치고 들어온 거죠.

특히 웹3.0 생태계 중심이 되고자 하는 전략이 점점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2024년 말 기준으로 TVL 20억 달러 돌파했구요,
24시간 거래량도 3억 달러를 넘겼다는 건 디앱들이 실제로 수이를 기반으로 돌아간다는 증거에요.

거기다 파트너십을 보세요.
알리바바 클라우드, 구글 클라우드, 프랭클린 템플턴, NHN, 애니모카, 원챔피언십…
이건 그냥 단순한 뉴스거리 넘어서 진짜 생태계를 실현할 기반들이 깔리고 있다는 뜻이죠.

🔵 수이는 ‘성장하는 레이어1’이다

요즘 시장에서 앱토스나 세이(SEI), 셀로 등도 계속 부상하고 있긴 한데,
그 중에서도 수이는 기술과 실사용처 둘 다 잡으려는 움직임이 뚜렷해요.

특히, 게임 + 소셜 부분은 기존 레이어1이 간과하던 영역인데,
여기에 수이는 집중하고 있는 거예요.

2025년 하반기쯤에는
실제 “수이 기반 웹3 게임”이 상용화되고,
NFT-게임-유동성까지 연결되는 디파이 구조도 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아직 얘기 안했는데,
수이 ETF 얘기가 슬슬 나오는 것도 엄청난 힌트예요.
만약 이게 실현되면? 그건 기관 투자금 유입이라는 뜻이죠💰

🔺 가격적 관점에서 보면?

2025년 4월 기준 가격은 약 $2.20 수준.
하지만 과거 최고가 $5.35를 돌파했던 전력이 있고,
시장 심리가 돌아오기 시작하면 ATH 재도전 가능성도 있어요.

  • 🔹 긍정적 시나리오: $7~$15 웹3 대중화 + ETF 승인 + BTC 반감기 후 알트장
  • 🔸 중립 시나리오: $4~$9 생태계 성장은 하나, 경쟁 치열 / 규제 부담 존재
  • 🔻 보수적 시나리오: $1.8~$3 유통량 증가와 시장 하락이 겹칠 경우

근데 솔직히 말해서…
전 $1.8~$2 초반대에서는 분할 매수 고려해볼만한 저점 구간이라 생각하고 있어요ㅎㅎ

물론 이건 절대 확정적인 건 아니지만,
생태계 확장 속도 + 기술 성숙도 + 실제 유저 기반 확보 속도
이 3개가 맞물리면 솔라나처럼 미친 상승 한번쯤은 나올 수 있다고 봅니다.


🏛 상장 거래소 정리

SUI 코인이 상장된 주요 거래소 목록. GDAX, Gate.io, OKX, Bybit, Bitget, Huobi, BTSE 등에서 거래 가능하며, 대부분 SUI/USDT 또는 SUI/USD 마켓으로 제공. 24시간 거래량은 최대 5천만 달러 이상이며, 거래소별 신뢰 지표도 함께 표기됨.

출처-코인게코

국내 거래소

  • 업비트
  • 빗썸

🌍 해외 거래소

  • 바이낸스
  • 코인베이스
  • OKX
  • 바이비트
  • 게이트(Gate.io)
  • 쿠코인
  • Bitget, Huobi 등

→ 글로벌 대부분 거래소에서 매매 가능할 정도로 유동성 확보 상태


🔗 공식 채널 링크


✍ 글을 마치며…

음… 솔직히 요즘처럼 시장이 살짝 다운될 때,
이렇게 기술력 있고 생태계 제대로 꾸린 프로젝트는 눈여겨볼만하죠.

개인적으로는 아직은 디앱이나 유저가 부족하긴 한데,
이게 오히려 “앞으로 들어올 자리 많다”는 뜻 같기도 하더라구요ㅎㅎ

저는 지금 가격대에서는 조금씩 분할 매수 전략 가져가볼까 싶습니다! ㅎㅎ


⚠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DYOR(Do Your Own Research)! 신중하게 판단해주세요🙏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